본문 바로가기

IT

8-1.파이썬 - 문자열 포맷팅

문자열 포맷팅

'''
 문자열 포맷팅
 
 포맷팅은 문자열 사이사이에 다른 타입의 데이터를 넣어 조립하여 문자열을 만드는 방법이다.
 
 -포맷팅에 사용하는 서식문자
 %d : 10진수 정수
 %f : 실수
 %s : 문자열
 %c : 단일문자
 %h : 16진수 정수
 %o : 8진수 정수
 %% : 문자 %
 
'''

tvxq = 5
print("동방신기는" + str(tvxq) + "명!" ) # +는 같은 타입일때 사용가능
print("동방신기는 " , tvxq, "명!", sep="")

# 포맷팅 사용
print("동방신기는 %d명!" %tvxq)

# 여러개의 변수도 포맷팅을 사용할 수 있는데
# %연산자 뒤에 나열할 변수들을 ()로 묶어서 나열한다.
month=12
day=25
anni="크리스마스"

print("%d월 %d일은 %s입니다." %(month, day, anni))

print("-" * 40)

percent = 40
print("파이썬의 진도율은 %d%%입니다." %percent)


----------------------------결과 ---------------------------
동방신기는5명!
동방신기는 5명!
동방신기는 5명!
12월 25일은 크리스마스입니다.
----------------------------------------
파이썬의 진도율은 40%입니다.

 

실수 부분에 대해 좀더 알아보자

'''
실수 포맷팅 문자 %f

실수 포맷팅 서실문자 %f는 기본으로 소수점 6자리까지 표현하도록 설정되어있다.

만약 자리수를 조절하고 싶다면 %.자릿수f로 자리를 지정합니다.
'''
pi=3.14159256
print("원주율의 값은 %.8f입니다." %pi)
print("원주율의 값은 %.2f입니다." %pi)

---------------------결과-------------------------
원주율의 값은 3.14159256입니다.
원주율의 값은 3.14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