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파이썬 - 인수의 기본값, 키워드 인수, docstring , 지역/전역변수
인수의 기본값 ''' 인수의 기본값 -파이썬에서는 인수의 기본값을 설정하여 자주 바뀌지 않는 데이터는 기본값을 통해 처리할 수 있게 한다. ''' def calc_stepsum(begin, end, step=1): # 기본값을 설정할수 있다. sum=0 for n in range(begin, end+1, step): sum += n return sum print(calc_stepsum(1, 10, 2)) # 25 print(calc_stepsum(1, 10)) #step에 값을 주지 않아도 기본값으로 들어간다!!! ''' 인수의 기본값을 지정할 때는 항상 맨 뒷부분에 기본값이 지정된 인수들을 모아서 나열해야한다. !! ex) def clac_sum(begin, end=5, step) (x) def cla..
10. 파이썬 - 다차원 리스트 , 튜플, 사전
ex) li = [ [1, 2, 3], [4, 5, 6], [7, 8, 9] ] 리스트 안에 리스트는 넣을 수 있으며, 결국 1 2 3 4 5 6 7 8 9 의 모양을 가지며 li [0] 의 값은 [1, 2, 3] 을 가진다. 다차원 리스트 ''' 2차원 리스트 - 리스트 내부 요소가 또 다시 리스트인 형태 ''' li = [[1,2,3], [4,5,6], [7, 8, 9]] print(type(li)) # list print(li[1]) # [4,5,6] print(type(li[1])) # list print(li[2][0]) # 7 print(tpye(li[2][0])) # list # 2차원 리스트를 반복문 처리하여 모든 요소를 사용하려면 반복문도 2중 루프로 구성해야한다. print("-" * ..
9-1. 파이썬 리스트
리스트 탐색 ''' 리스트 탐색 메서드는 문자열과 거의 유사합니다. index(), count(), in 키워드 등을 지원한다. ''' points = [99, 14, 87, 100, 55, 100, 99, 100, 12] perfect = points.count(100) print("만점자의 수는 %d명입니다." % perfect) idx = points.index(87) print("87이 저장된 위치는 %d번 입니다." % idx) # 내장함수 len(), max(), min() print("학생수는 %d명입니다." % len(points)) print("학생수는 %d명입니다." % max(points)) print("학생수는 %d명입니다." % min(points)) #리스트 내의 유무를 검사하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