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3-1. 파이썬 문자열 기초, 형변환

탈출문자

'''
탈출문자 (secape code)
\n : 줄 개행을 시행
\t : 탭 명령을 실행 
\r 캐리지 리턴(커서를 왼쪽으로 이동)
\\ : 문자 \를 표현
\' : 문자 '를 표현
\" : 문자 "를 표현

'''

print("--------------")
s6 = "안녕~~!\n반가워!!"

# 문자열 앞에 r이라는 접두어를 붙이면 탈출문자를 적용하지 않는다.

file = "C:\\temp\\new.jpg"
print(file)
file1 = r"C:\temp\abc\new.jpg"
print(file)

#한줄에 쓰기에 너무 긴 문자열을 문단으로 처리하기
# '''~''' , """~"""
adc = """안녕하세요안녕하세요안녕하세요  
안녕안녕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안녕하세요"""

------------------------------------결과 ---------------------
--------------
C:\temp\new.jpg
C:\temp\new.jpg

 

문자열 연산

'''
문자열 연산

파이썬은 문자열의 덧셈연산과 곱셈연산을 지원한다.
문자열의 덧셈 연산시 문자열을 서로 결합한다.

'''
s1 = '오늘 저녁은'
s2 = '치킨이다'
print(s1 + s2 + " 야무지게 먹어야지")

'''
파이썬에서는 문자열의 곱셈연산을 지원한다.
곱셈연산자(*)로 문자열을 정해진 수만큼 반복할 수 있다.
이때 반드시 좌항에는 문자열이, 우항에는 정수가 와야한다.
문자열끼리 곱하거나 문자열과 실수를 곱할수 없다.
'''

print(s1 * 3)
print("배고파" * 2)
print("-" * 5)
# print(s1 * 1.7)(x)

 

 

타입변환( 필요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알아둬야한다. )

'''
문자열과 정수의 상호변환

'''

name = '홍길동'
score =90

# print(name + "의 점수는 :" + score) 형이다른데 같이 결합해서 출력하려니깐 에러발생
'''
문자열과 정수의 + 연산 진행시 타입이 일치하지 않아서 에러가 발생하므로 타입을 어느 한쪽으로 맞춰야한다.
정수를 문자열로 변환할때는 str() 함수를 사용한다.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할 때는 int()함수를 사용한다.
'''

print(name + "의 점수는 : " + str(score)) # 일시적 변환
print(type(score))

------------------------결과-------------------------------
홍길동의 점수는 : 90
<class 'int'>
'''
실수와 문자열, 정수간의 상호변환

실수가 저장된 문자열을 실수 형태로 변환하려면 float()함수를 사용합니다.

'''

s = "2.22"
print(10 + float(s))
print(10 + float("314e-2"))

print(10 / 4)
# 자바는 2가 나오는데 파이썬은 2.5로 나옴 

'''
반올림을 할땐 round()함수를 사용한다.
'''
print(round(4.78))
print(round(4.78, 1)) #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표현

-------------------------------결과-----------------------------
12.22
13.14
2.5
5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