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썬의 표준출력함수는 print이고 괄호 안에 출력하고 싶은 변수, 상수, 수식등을 적으면 콘솔창에 텍스트 출력을 실행한다.
'''
name = "콩수빈"
print(name)
'''
출력할 데이터가 여러개라면 콤마(,)로 여러 개의 값들을 공백과 함께 가로로 나열
'''
dog = '강아지'
cat = '야옹이'
print(dog, cat, 23)
'''
print함수 내부에는 sep이라는 속성이 존재한다.
sep은 separator의 약자로 구분자로 불림
sep의 값은 디폴트로 "" 공백 문자열이 지정되어 있다.
공백을 없애고 싶으면 sep="" 이 방법으로 없애면 된다.
'''
print("-" * 40)
print(dog, cat, 23, sep=" ")
print(dog, cat, 23, sep="=>")
print(dog, cat, 23, sep="")
print (dog, cat, sep="친구는 ")
'''
파이썬은 자바와 달리 print함수가 자동으로 줄개행을 하는 이유는 함수 내부에 end라는 속성값이 지정되어 있으며
디폴트로 "\n"이 정해져있기 때문이다.
'''
print(dog) #자바는 줄바꿈시 \n를 무조건 작성해줘야지 줄바꿈을 해줬다.
print(cat, end="\n")
----------------------------------결과--------------------------------
콩수빈
강아지 야옹이 23
----------------------------------------
강아지 야옹이 23
강아지=>야옹이=>23
강아지야옹이23
강아지친구는 야옹이
강아지
야옹이
input
'''
함수의 괄호 안에 사용자에게 질문할 내용을 문자열 형태로 작성한다.
입력받은 데이터를 반드시 변수에 저장해야하며, 입력받은 데이터의 타입은 언제나 문자열(str)dlek.
'''
age = input("당신의 나이는: ")
print("당신의 나이는", age, "세입니다.")
print(type(age))
print("---------------------------")
'''
input함수로 입력받은 데이터는 무조건 문자열로 처리되기 때문에 값을 숫자로 입력해도 수치연산이 실행되지 않는다.
'''
n1 = input("1번째 정수: ")
n2 = input("2번째 정수: ")
print("두 수의 덧셈결과: ", int(n1) + int(n2))
# 이러면 매번 int를 적어줘야하는 번거로움이 생긴다.
'''
처음부터 입력한 값을 정수나 실수형태로 사용할 것으로 판단된다면 입력받을 때부터
정수나 실수형태로 입력받을 수 있다.
'''
price = int(input("가격: "))
sale_rate = float(input("할인율: "))
print("print의 타입:", type(price))
print("sale_rate의 타입:", type(sale_rate))
--------------------------------결과--------------------------------
당신의 나이는: 10
당신의 나이는 10 세입니다.
<class 'str'>
---------------------------
1번째 정수: 20
2번째 정수: 30
두 수의 덧셈결과: 50
가격: 3000
할인율: 7.5
print의 타입: <class 'int'>
sale_rate의 타입: <class 'float'>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파이썬 - while문, for문, range (0) | 2022.07.25 |
---|---|
5. 파이썬- if문, 다중 분기 조건문, 중첩 if문 (0) | 2022.07.24 |
4. 파이썬 연산자 - 산술, 대입, 논리, 비트, 기타 연산자 (0) | 2022.07.21 |
3-1. 파이썬 문자열 기초, 형변환 (0) | 2022.07.21 |
3. 파이썬 기본자료형 (0) | 2022.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