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나스 구축하기

 

대부분 사람들이 자신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클라우드를 많이 사용하지만 NAS를 사용해줘도 좋다

보통 집에서 사용할 시 나스 장비를 구축하면 고정 아이피를 할당해야 한다. ipTIEM을 쓰고 있으면 DHCP서버 설정을 중지시키자.

이유: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하도록 게이트웨이 장비에서 포트포워딩을 설정하는데 이때 NAS의 아이피가 입력되기 때문이다. 

회사와 달리 가정에서 쓸경우 HDD는 두 개 정도만 사용하면 된다.

 

아! 나스 단점도 있다.

인터넷을 연결해야하고, 가정에서 100Mbps속도를 사용하고 있다면 파일을 다운로드하다가 숨이 넘어갈 수도 있다. ㅋㅋ

마지막으로 설정이 복잡하다 ㅠㅠ

 

 

나스장비 설정 순서

1. HDD를 장착, 나스 장비 랜선 꽂고 전원 주기

 

2. 시놀리지 나스 .닷컴 으로 접속하여 DSM(나스의 운영체제라고 보면 됨.) 설치해주기

 

3. 저장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게 디스크 풀과 볼륨을 생성해야한다.

디스크 풀과 볼륨 생성 방법

볼륨> 생성> 새로운 스토리지 풀 생성> RAID유형 선택> 파일 시스템 선택

 

4. 생성된 볼륨 위에 공유폴더를 생성해야 한다.

공유폴더 생성

제어판> 공유폴더 생성> 이름만 정하면 된다.

 

5. 마지막으로 보안을 위한 사용자를 추가해야 한다.

사용자 추가

제어판> 사용자> 패스워드 지정해주자> 읽기 쓰기 권한 주기> 응용프로그램 권한 할당은 File station 만 허용하자.

 

끝.

이제 네트워크 드라이버로 연결해주면 된다.

만약 네트워크 드라이브가 연결 안 되면 즉, 액세스가 거부되었습니다. SMB권한이 없어서 이다. 권한 주기.!

 

 

추가적으로 알아두면 좋은 내용이다.

NAS를 사용하게 되면서 접하는 용어들

DMZ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의 모든 포트를 오픈하는 것이다. (보안 취약)

Super DMZ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는 특정 시스템의 모든 포트를 오픈하는 것이다. (그래도 좋지 않다.)

DDMS(Dynamic DNS)

유동 아이피를 도메인에 맵핑해 주는 시스템

집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회선은 유동 IP를 할당받아서 사용한다.

 

백업하기

시놀리지 나스 장비는 백업하기 위해 Hyper Backup을 많이 사용한다.

RAID를 구성하면 백업 환경이 잘 구축되어있다고 오해를 한다.

RAID는 여러 디스크를 하나의 디스크로 인식하기 위한 구성 방식이지 백업을 위한 구성이 아니다.

백업 설정 시 회전 탭: 이전에 백업된 파일을 언제까지 보관할지에 대한 설정이다.

 

작업 스케줄러로 예약 백업

작업스케줄러 작성 후 꼭 NAS 장비를 재부팅시켜줘야지 돌아간다.

안전하게 나스 장비를 사용하기 위한 설정들

사용자 2단계 인증 사용하기:  내가 사용하는 계정이 탈취되었을 때를 대비하기 위해 사용한다.

계정 자동 차단 활성화: 누군가 나의 NAS에 로그인을 시도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한다.

 

NAS 고정 아이피 할당

만약 집에서 NAS를 구축한다면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하도록 NAS, 게이트웨이 둘 다 고정아이피 설정을 해줘야 한다.

 

 

 

참조: 바탕화면 탐색 | DSM - Synology 지식 센터

 

바탕화면 탐색 | DSM - Synology 지식 센터

 

kb.synology.com

 

참조: 탁구치는 개발자 :: 우리집에 NAS 구축하기 (tistory.com)

 

우리집에 NAS 구축하기

작년까지 Google Cloud Platform을 공짜로 쓰다가 더이상 사용 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 NAS라는 것을 구매하게 되었다. 내가 구매한 제품은 Synology DS218+ 이고, 램이 2GB 였다. 만약 docker를..

lng1982.tistory.com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VMware란 무엇인가  (0) 2022.06.15
1. 서버(Server)란  (0) 2022.06.14
시놀리지 나스란 무엇인가  (0) 2022.06.14
프론트엔드 VS 백엔드란?  (0) 2022.06.13
전산관리자 정전시 보안대책 & 정전 시 메뉴얼  (0) 2022.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