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의 개념, 장단점, 활용 등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NAS(Network Attached Storage)는 회사에서 파일 공유를 하기 위한 장치로 시작했다.
NAS외장하드이지만 다른 외장하드와 달리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저장장치이다.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니 인터넷을 이용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보다 통신속도가 빠르며 용량이 큰 파일도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다.
NAS 선택하는 법
프로세서
NAS를 제어하는 프로세서(CPU)의 성능이 높을수록 공유 파일의 읽기 쓰기 속도는 물론 동시 접근 가능한 사용자 수도 늘어난다.
RAID
나스는 보통 2베이 이상 구조인 이유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함이다. 즉, 하나는 백업용
그래서 2개 이상의 하드디스크를 ’RAID(Redundant Arrays of Independent/Inexpensive Disks)’라는 기술을 사용해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RAID종류와 장단점 ( 0, 1, 2, 3.. 다 있지만 잘 사용되는 것들만 )
RAID0
HDD의 기억용량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레벨이다. 데이터를 블록단위로 분할하여, 복수의 디스크에 분산하고 배치한다. 읽고 기입하는 속도가 빨라짐. 단, 정황성이 없고 HDD 고장 시 파일 복구 불가.
RAID 1
같은 데이터를 복제하여, 2개의 디스크로 쓰는 방식이다. "미러링"
동일한 데이터가 각 HDD에 기입되므로 어느 한쪽의 HDD가 고장 났다 해도, 모든 파일의 데이터가 남아있다.
RAID 5
RAID4의 병목현상을 해결한 레이드 구성 레벨이다. 패리티 비트를 하나의 디스크로 몰아놓은 것이 아닌, 분산하여 구성한다. 안정성과 성능을 어느 정도 보장할 수 있는, 스토리지에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성 방법이다.
N개의 디스크가 있으면 실제 사용 가능한 디스크는 N-1개가 된다.
RAID 6
RAID5의 경우 1개의 디스크 Fault까진 Parity를 이용하여 복구가 가능했다. 하지만 1개의 디스크 손상후, 바로 또 하나의 디스크가 손상이 된다면 전체 디스크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다.
그래서 2개의 패리티 비트를 두어 안정성을 강화한 방법이다.
N개의 디스크가 있으면 실제 사용 가능한 디스크는 N-2개가 된다.
출처: RAID의 종류 및 개념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RAID의 종류 및 개념
(흔히 성능 향상이나 안정성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 RAID에 대한 개념 정리) * RAI...
blog.naver.com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VMware란 무엇인가 (0) | 2022.06.15 |
---|---|
1. 서버(Server)란 (0) | 2022.06.14 |
나스 구축하기 (0) | 2022.06.14 |
프론트엔드 VS 백엔드란? (0) | 2022.06.13 |
전산관리자 정전시 보안대책 & 정전 시 메뉴얼 (0) | 2022.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