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란 네트워크에서 다른 컴퓨터나 소프트웨어와 같은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다.
서버는 단독으로 움직이지 않고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아야 비로소 처리를 시작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웹서버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1. 웹 브라우저가 웹서버에게 http://growthjournal.com 사이트를 달라고 요청
2. 웹서버는 해당 사이트의 파일을 찾음
3. 웹 서버는 찾은 파일을 웹 브라우저에게 반환
4. 웹 브라우저는 파일을 받아 http://growthjournal.com 사이트를 화면에 표시.
서버 구축
서버 구축은 컴퓨터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실행하면 된다. 결국 서버란 것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다.
예를 들어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는 웹 서버 소프트웨어이며, 그것이 작동하고 있는 컴퓨터가 '웹서버'이다.
erp를 제공한다면 erp서버 소프트웨어, 작동되는 컴퓨터는 'erp서버'가 된다.
대표적 웹 서버 소프트웨어로는 아파치, lls, nginx 가 있다. 각각의 특징은 다르지만, 웹서버로서의 기능은 동일하다.
또한, 한대의 컴퓨터에 여러 개의 서버 소프트웨어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각 서비스를 한대의 컴퓨터에서만 서버로 제공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우리도 하나의 서버로 여러 개 서버 소프트웨어를 작동시키고 있다.
기업에 있어서의 서버
실제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땐 사용자와 시스템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
인터넷에 연결하고 싶다면 dns서버가 필요할 것이고, 데이터 공유를 하고 싶다면 파일 서버가 필요할 것이다.
이제 마련할 서버가 정해졌다면 어떤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것인지 생각해야 한다. 지원하는 운영체제, 프로그램 환경, 비용 모든 측면을 생각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서버 소프트웨어는 대략 정해져 있으므로 그중 골라서 쓰면 된다고 한다.
이중 대표적 서버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웹서버, 프락시 서버, 메일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있다.
추가로 운영체제도 살짝 적어보자면
운영체제도 소프트웨어이다. 크게 윈도우(window), 유닉스(Unix), 리눅스(Linux)운영체제가 존재한다.
윈도우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운영체제이다.
장점: 사용하기가 익숙합니다.
단점: 유로라는 점과 기본 사양이 무겁다.
유닉스
소스코드는 c언어를 사용하고 파일 설계가 단순하고 유연하다.
현재는 워크스페이션이나 서버의 중심적인 운영ㅊ제로 사용이 되고 있으며 개인 컴퓨터에서 슈퍼 컴퓨터까지 유닉스 운영체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리눅스
유닉스 기반으로 만들어진 운영체제로 소스코드는 무료로 공개되어져 있다.
국내에서는 사용률이 저조하지만 공공기관이나 특정 기관에서 서버 컴퓨터의 프로그램으로 더 많이 사용이 되고 있는 운영체제이다.
장점: 무료, 서버 구축 시 필요한 사양이 낮다.
단점: 우리는 모두 윈도우 환경에 익숙하므로 적응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참조: 그림 한 장으로 보는 최신 서버 가이드북 (aladin.co.kr)
그림 한 장으로 보는 최신 서버 가이드북
모든 항목의 해설을 철저하게 일러스트화하여 설명하고 있다. 본문은 펼친면/양면을 하나의 주제로 정리하여, 이미지가 산만하게 흩어지지 않도록 배려했다. 또한, 사전 지식이 없어도 전체상
www.aladin.co.kr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란 무엇인가 (0) | 2022.06.16 |
---|---|
1. VMware란 무엇인가 (0) | 2022.06.15 |
나스 구축하기 (0) | 2022.06.14 |
시놀리지 나스란 무엇인가 (0) | 2022.06.14 |
프론트엔드 VS 백엔드란? (0) | 2022.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