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시 보안해책에 따르면 정전이 발생했을 때를 대비해 가장 먼저 할 일은 대응 매뉴얼을 준비하는것이다.
정전은 천재지변에 필적하는 중요한 장애 요인. 비단 정보보안의 문제가 아니라고 해도 정전은 많은 IT 자원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수 있다. 사전에 대응 메뉴얼을 준비하고 관련 담당자들은 미리미리 숙지할 수 있도록 교육과 훈련은 필수다.
첫 번째 전력 이중화나 무정전 전원공급 장치(UPS) 등 정전에 대비한 예비 전력을 확보.
UPS는 용량과 소모 전력을 확인해 가용 예비 시간을 확인하고 이 시간 동안 처리해야 하는 일들을 미리 정의해 놓자!
두 번째 정전으로 인한 시스템 장애에 대비해 백업 시스템을 준비, 백업 시스템을 갖추지 못했다면 주기적으로 백업할수 있는 스토리지를 확보해 수동으로라도 백업을 실시하자.
세 번째 정전 전후 '보안 시스템을 가장 마지막에 끄고, 가장 첫 번째로 켜야한다' 단 몇초의 시간으로도 해커는 시스템을 공략할 수 있으므로 보안 시스템을 먼저 끄지말자.!
네 번째 정상 상태로 복귀하면서 시스템을 점검하기
다섯 번째 정전이 내부분제인지 외부문제인지 알기 위해 누전 차단기나 배전반 등의 위치를 확인.
전산관리자는 정정 시 어떤 방식으로 대처해야 할까?
사전
1. 정전 사전 공지를 올린 후 서버, 네트워크 등 각 유지보수 업체에 미리 연락을 줘서 정전됨을 알려준다.
정전 안내문
전기사업법 제65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32조에 따라 아래와 같이 전기설비 정기검사를 실시하오며,
점검시간 동안 정전이 되오니 직원여러분의 많은 이해와 양해 부탁드립니다.
아울러 정전으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o 검 사 명 : 정기검사 실시
o 검사일시 : 2022. x. x. (요일) 09:00~12:00(3시간)
o 정전구간 : 전체
o 검사업체 : 한국ooooo oo지사
※ 작업여건에 따라 정전시간이 변경 될 수 있습니다.
문의사항 : ☎
2. 당일 서버(그룹웨어, ERP 등) - 스토리지 - 네트워크 - 향온항습 - UPS 순으로 OFF
9시 점검이면 8시 45분부터 미리 off시키자. 업데이트가 종료보다 우선시 되서 더 늦게 off될수 있기 때문이다.
사후
1. 시스템 On 및 시스템 서비스 체크(각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돌아가는지 확인)
2. 전체공지 (점검완료에 따라 현재는 이상없이 활용가능하다는것을 공지.)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VMware란 무엇인가 (0) | 2022.06.15 |
---|---|
1. 서버(Server)란 (0) | 2022.06.14 |
나스 구축하기 (0) | 2022.06.14 |
시놀리지 나스란 무엇인가 (0) | 2022.06.14 |
프론트엔드 VS 백엔드란? (0) | 2022.06.13 |